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

참나무 형제들 12 종 (2023. 4. 12) 참나무목> 참나무과 > 참나무속 계통으로 도토리가 열리는 나무를  참나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참나무는 대표적으로 낙엽성 6종과  상록성 6종이 있다.낙엽성 여섯 종은 떡갈나무, 신갈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이다.상록성 여섯 종은 가시나무, 참가시나무, 개가시나무, 종가시나무, 붉가시나무, 졸가시나무이다. 어릴 때 도토리가 열리는 나무는 모두 굴밤나무라고 하였다. 도토리가 열리는 나무중에 굴참나무가 특히 많아서 도토리나무를 통칭하여 굴밤나무라고 하지 않았을까 싶다.  굴밤나무에서 장수하늘소와 풍뎅이를 잡곤 했는데 굴참나무는 유난히 수피가 두꺼워서 이들 곤충이 많이 살았을 것 같다. 밤나무도 참나무와 잎 모양과 수피가 비슷하지만 참나무과>밤나무속으로 참나무와 6촌지간이다... 2024. 9. 3.
식물의 분류와 우리 식물 현황 과거에는 식물을 '생물계를 동물과 함께 크게 둘로 나눈 것으로서 자유로이 운동을 못하며, 독립영양을 하는 생물'로 정의하였다. 하지만 생물학이 발달한 지금은 생물계를 둘로 나누지 않고, 넷 또는 다섯 개의 계로 구분하므로 그 범위가 조금은 좁아졌다. 즉 예전에는 버섯, 곰팡이, 해조류 등이 모두 식물의 범주에 속하였지만, 지금은 이들을 제외하고 우산이끼와 솔이끼 등 선태류와 관다발식물만을 포함하여 일컫는 말이 된 것이다. 관다발식물은 관다발을 가진 식물로 유관속식물 또는 관속식물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에는 양치식물, 겉씨식물, 속씨식물(꽃식물) 등 우리가 보통 식물이라 부르는 것들이 포함된다. 따라서, 이 개념에 의하면 미역, 파래, 김 등 해조류는 식물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고, 원생생물(protista).. 2024. 9. 3.